자격증/ADsP

[1과목] 1장 '데이터의 이해' 정리

ㅈㅣ니 2022. 10. 26.

시험이 얼마 안남아서 공부하려고 책 보고 요약함.

데이터의 유형

정성적 데이터 : 저장, 검색, 분석에 많은 비용이 소모 되는 언어, 문자 형태의 데이터 (ex. 회사 매출이 증가함)

정량적 데이터 : 정형화된 데이터로 수치, 도형, 기호 등의 형태를 가진 데이터 (ex. 나이, 몸무게, 주가)

 

지식 경영의 핵심 이슈

[암묵지]

학습과 경험을 통해 개인에게 체화되어 있지만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지식 (ex. 김장김치 담그기, 자전거 타기)

특징 : 사회적으로 중요하지만 다른사람에게 공유되기 어려움

상호작용 : 공통화, 내면화

[형식지]

문서나 매뉴얼처럼 형상화된 지식 (ex. 교과서, 비디오, DB)

특징 : 전달과 공유가 용이함

상호작용 : 표출화, 연결화

 

DIKW 피라미드

Data : 객관적인 사실, 가공하기 전의 순수한 수치나 기호를 의미

ex.  a 마트는 100원에, b마트는 200원에 연필을 판매한다.

 

information : 데이터의 가공, 처리와 데이터간 연관관계 속에서 의미가 도출된 것

ex. a마트의 연필이 더 싸다.

 

knowledge :  상호 연결된 정보 패턴을 이해하여 이를 토대로 예측한 결과물

ex. 상대적으로 저렴한 a마트에서 연필을 사야겠다.

 

wisdom : 지식의 축적과 아이디어가 결합된 창의적인 산물

ex. a마트의 다른 상품들도 b마트 보다 쌀 것이라고 판단한다.

 

데이터베이스의 특징

통합된 데이터 (integrated data) :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중복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.

저장된 데이터 (stored data) :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것을 의미 ex. 자기디스크, 자기 테이프

공용 데이터 (shared data) : 여러 사용자가 서로 다른 목적으로 데이터를 공동으로 이용한다는 것을 의미. 구조가 복잡함.

변화되는 데이터 (changable data) : 새로운 데이터 삽입, 기존 데이터 삭제, 갱신으로 항상 변화하면서도 항상 현재의 정확한 데이터를 유지해야함.

 

 

출처 : [도서] 데이터분석 준전문가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