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통 repository를 clone할 때 HTTPS 주소를 가져와서 클론하는 경우가 많다.
하지만 private 한 repository는 SSH로 클론해와야한다.
이때, SSH Key를 등록해야 로그인 인증을 할 수 있다. 그래서 이번에는 SSH Key를 등록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겠다.
1. git bash를 실행한다.
2. ssh key 생성
1) git bash를 실행 후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친다.
ssh-keygen
2)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(경로) :
이렇게 결과가 나오는데, 기본경로로 생성하기 위해 그냥 엔터를 친다. ( 그러면 디렉토리 생성 완료 )
3) Enter passphrase (empty for no passphrase): 패스워드입력
패스워드를 지정해주고 엔터
4) Enter same passphrase again
패스워드 재입력 후 엔터
5) 경로 확인 ( 공개키 경로 )
id_rsa.pub 에 공개키가 저장되어있다.
저장확인
id_rsa.pub 파일을 열어서 암호화 되어있는 키를 복사해온다.
3. Github에 SSH Key 등록하기
settings 에서 SSH and GPG keys에 들어간다.
1) key 부분에 복사해 온 키값을 붙여넣기한다.
2) 등록 완료
이렇게 키가 등록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.
+ GCP cloud shell 에서 가상환경에 repository를 클론해올 때에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cloud shell 에 SSH 키를 생성하고 GitHub에 등록해줘야지 클론이된다. ( 이거 몰라서 1시간 동안 삽질했음,,,,ㅠ )
[ Google cloud shell 에서 ssh 키 생성 ]
1) ssh 키 생성
ssh-keygen -t rsa -b 4096 -C "your_email@example.com"
2) SSH 에이전트 실행 및 키 추가
eval "$(ssh-agent -s)"
ssh-add ~/.ssh/id_rsa
3) 공개 키 확인 및 복사
cat ~/.ssh/id_rsa.pub
'project > mark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CP] Google App Engine에 Flask 프로젝트 배포하기 (1) | 2023.12.01 |
---|---|
[Git] Github에 프로젝트 올리기 (0) | 2023.11.30 |